Story Map ~ With the book

집단 착각 _Storymap ('25. 3월)

Justin Jo 2025. 3. 11. 06:00

 

이 책을 한 줄 느낀 점으로 적으면
"진짜 다수가 무엇을 원하는지 착각하지 않도록, 비판적 사고를 가져야 한다
 

이 책을 읽고 5가지의 질문을 던져 보고, 답도 달아 봅니다.

1. 우리는 ‘진짜’ 다수 의견을 알고 있는걸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착각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뉴스, 정치적 논쟁 속에서 특정 의견이 다수 의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소수의 강력한 목소리일 가능성이 높다.

 

2. 사회적 압력이 우리를 어떻게 조종하는가?

   우리는 집단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그것이 결국 자기 검열로 이어진다.

   하지만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으면

    사회는 오히려 거짓된 다수의 의견이 지배하게 된다.

 

3. 사회와 산업에서 ‘집단 착각’이 적용될 수 있는가?

   특정 기술이 다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해서 무조건 미래에도 유망한 것은 아니다.

   특정, 제조 공정 방식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도 검토가 필요하고,

   시장의 변화, 기술의 성숙도를 다각도로 분석해야 한다.

 

4. 피드백 루프를 통한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확보할수 있을까? 

   조직 내에서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피드백 문화를 정착하는 것은 중요하다.

   단순한 평가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피드백 루프 설계 필요하다.

   조직 내에서도 단순한 "다수결"보다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구조를 강화하자.

 

5. 사회생활에서 ‘집단 착각’에 빠지지 않는 방법은 무엇일까? 

    객관적 데이터 확인 : 다수의 의견을 따르기 전, 데이터와 근거를 검토.

    침묵하지 않기 : 소수 의견이라도 스스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

    다양한 관점 접하기 : 의도적으로 반대 의견을 찾아보고 사고의 균형을 유지.

    토론 문화 조성 : 조직 및 팀 내에서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가능한 분위기 만들기.